2025/07/04 2

2025년 하반기 청년 지원 정책, 서울형 청년활동지원금, 이렇게 달라집니다

2025년 하반기 변화된 서울형 청년활동지원금 서울시는 2020년부터 청년의 구직 공백기, 사회 진입 초기의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해 ‘서울형 청년활동지원금’을 운영해왔다. 이 정책은 단순한 생계지원을 넘어, 자기 주도적인 삶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대표적 청년 기본소득형 지원제도다. 기존에는 일정 요건을 갖춘 청년에게 월 50만 원씩 6개월간 지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지만, 2025년 하반기부터 제도의 구조가 크게 바뀌었다. 특히 상반기까지는 만 19~34세 미취업 청년 중 일부만 선정되던 방식이었다면, 하반기부터는 ‘고립 위험군’과 ‘진로 이행기 청년’까지 포함하는 맞춤형 구조로 확대되고 있다. 이 변화는 청년 복지의 개념이 단순히 일자리를 찾는 데 머무르지 않고, 삶의 방향을 다시 찾는 것까지 포괄..

부산 사상구 청년 지원 정책 – 생계급여형 기초보장제도 2025년 하반기 확대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청년”도 복지를 받을 수 있는 첫 시작부산 사상구는 청년층 인구 비율이 높고, 자립 중이거나 고립된 청년 1인 가구의 증가 속도가 빠른 지역이다.그동안 사상구 청년 가운데 소득이 없고 사회활동도 하지 못하는 상태에 놓인 청년들은 복지 사각지대에 머물러야 했다. 기존 복지제도는 일을 하거나 훈련을 받는 청년에게만 기회를 제공했고, 정작 “지금은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청년”에게는 닿지 않았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5년 상반기부터 시행된 것이 청년기초보장 시범사업이고, 사상구는 전국 최초로 이 사업을 실질 운영한 대표 시범지역 중 하나다.2025년 하반기부터는 사상구의 이 제도가 더욱 강화된다.지원 대상은 확대되고, 참여 방식은 유연해졌으며, 상담 체계와 연결 지원은 더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