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3

2025년 하반기, 확대되는 청년 지원정책 2종 비교 – 청년도전지원 vs 청년기초보장

같은 청년이어도, 필요한 제도는 다를 수 있다2025년 하반기, 정부는 청년 정책의 방향을 바꾸고 있다. 단순한 취업 유도나 자격증 중심 정책을 넘어서, 사회적 고립 상태에 놓인 청년, 무직 상태가 장기화된 청년을 위한 복지형 정책이 본격 확대되고 있다. 그 중심에는 청년도전지원사업과 청년기초보장 시범사업이 있다. 두 제도 모두 일정 기간 사회적 활동이 없거나, 심리적으로 위축된 청년을 지원하는 취지지만 지원 방식과 제도 구조는 완전히 다르다. 특히 2025년 하반기 기준으로는 청년도전지원사업은 참여 인원과 프로그램 수가 확대되었고, 청년기초보장 시범사업은 시범지역이 추가되고, 상담 프로그램과 생계비 연계 모델이 고도화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두 제도의 하반기 확대 내용을 중심으로 실제 어떤 차이가 있고..

2025년 하반기 청년지원사업, 시범 도입되는 '청년기초보장제'

일할 수도, 공부할 수도 없는 청년을 위한 실험이 시작된다청년을 위한 정부 정책은 많지만, 지금까지는 대부분 ‘일할 수 있는 청년’을 위한 제도가 중심이었다. 일할 준비가 된 사람, 훈련을 받을 수 있는 사람, 구직활동을 시작할 수 있는 사람에게만 기회가 주어졌다. 하지만 현실 속에는 경제적 어려움과 심리적 위축, 가족 해체 등의 이유로 어떠한 제도에도 접근하지 못하는 청년층이 존재한다. 이들을 위한 정책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정부는 2025년 하반기부터 '청년기초보장 시범사업'을 시작한다. 이 정책은 기존 복지제도로 포괄되지 않던 ‘선별되지 않는 청년’을 대상으로 생계 기반을 보장하고 사회적 복귀를 지원하는 새로운 모델이다. 현재 전북 군산, 부산 사상구, 인천 남동구 등 일부 지역에서 시범 도입이 ..

2025년 하반기 로컬 청년 창업 지원사업 확대, 지방에서도 창업할 수 있다

수도권 중심의 창업 구조를 지방으로 확장하다2025년 하반기부터 정부는 청년 창업 정책의 방향을 뚜렷하게 전환하고 있다. 지금까지 청년 창업은 주로 서울이나 수도권 중심의 스타트업 환경에 집중되었지만, 이제는 ‘지역에 머무르면서 창업이 가능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쪽으로 지원이 확장되고 있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로컬 청년 창업 지원사업’의 확대다. 이는 단순히 창업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입지 선정부터 제품 개발, 브랜딩, 유통까지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지방 인구 감소와 청년의 수도권 집중이라는 이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기 전략으로, 실제로 전라남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제주도 등은 이미 청년 창업자 유치를 위한 정책을 실질적으로 확대하고 있다...